맨위로가기

산타 트리니타 성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타 트리니타 성당은 11세기에 발롬브로사 수도회에 의해 피렌체 성벽 밖에 건립되었다.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의 산타 마리아 델로 스파시모 성당으로 시작하여, 13세기에 소 바실리카 지위를 얻었다. 이후 여러 차례 개보수를 거쳐 매너리즘 양식의 파사드와 조각 작품을 갖추게 되었으며, 치마부에의 '산타 트리니타 마에스타' 등 예술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사세티 예배당과 바르톨리니 살림베니 예배당을 비롯한 여러 예배당에는 도메니코 기를란다요, 로렌초 모나코 등 예술가들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렌체의 대성전 -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은 이탈리아 피렌체에 위치한 성당으로, 도미니코 수도회에 의해 13세기 중반 건설이 시작되어 1420년 축성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 알베르티의 파사드 설계와 바사리의 내부 개조, 그리고 마사초의 "성 삼위일체"를 비롯한 예술 작품들을 소장하고 있는 산타 마리아 노벨라 미술관으로도 사용되는 곳이다.
  • 피렌체의 대성전 - 산타 크로체 성당
    산타 크로체 성당은 피렌체에 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프란치스코회 성당으로, 조토와 그의 제자들이 제작한 프레스코화, 유명 인사들의 무덤,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가 직접 세웠다는 전설, 유대인 건축가가 디자인한 신고딕 양식 파사드가 특징이며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기념비가 있는 이탈리아 역사와 예술의 중요한 건축물이다.
  • 고딕 건축 - 세비야 대성당
    세비야 대성당은 스페인 세비야에 위치한 고딕 양식의 대성당으로, 1184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1528년에 완공되었으며, 원래는 이슬람 모스크였으나 기독교 세력에 의해 개조되었고, 198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고딕 건축 - 성모 승천 대성당
    성모 승천 대성당은 폴란드 그단스크에 있는 벽돌 고딕 양식의 가톨릭 공동 대성당이자 바실리카로, 15세기 완공 후 종교 개혁 시기에는 루터교 교회로 사용되다가 2차 세계대전 후 재건되어 현재는 가톨릭 대성당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고딕, 르네상스, 바로크 양식의 예술품과 역사적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산타 트리니타 성당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파사드
파사드
원어 이름Basilica di Santa Trinita
로마자 표기Basilica di Santa Trinita
위치피렌체
국가이탈리아
종교 교단발롬브로사 수도회
교회 정치로마 전례의 가톨릭 교회
웹사이트www.monaci.org/monastero-santa-trinita/
봉헌일1250년

2. 역사

산타 트리니타 성당은 11세기에 발롬브로사 수도회가 건립했고, 당시 성당은 피렌체 성벽 밖에 있었다.[1][2] 이후 피렌체의 여러 부유한 가문들의 후원을 받았다. 현대 이탈리아어로 '삼위일체'를 뜻하는 'trinità'는 마지막 모음에 강조가 들어가지만, 옛 피렌체 지역의 발음은 첫 번째 모음에 강조를 하였는데, 이에 따라 성당의 명칭은 악센트가 빠진 대로 기재되는데 이따금식은 흔치 않은 발음을 나타나내기 위해 첫 번째 모음에 강조를 'trìnita'로 표기된다.

성당은 본래 소박한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의 산타 마리아 델로 스파시모(Santa Maria dello Spasimo)라는 성당으로 지어졌었다. 이 성당은 카롤링거 시대의 예배당 터에 지어진 것이었다. 이때의 일부 흔적들을 파사드 내부 쪽에서 볼 수 있다. 최근의 성당 건물은 1258년-1280년에 11세기에 있었던 성당의 터에 건설됐다.[1] 13세기에 소 바실리카 지위에 올랐다.[1] 산타 트리니타는 교구 성당이자 발롬브로사 수도회의 수도원이기도 하다.[2]

수 세기에 걸쳐 여러 번의 개보수가 있었다. 매너리즘 양식의 파사드 (1593년–1594년)는 베르나르도 부온탈렌티가 설계한 것이었다. 성당 중앙 문 위에 새겨진 박육조는 피에트로 베르니니와 조반니 바티스타 카키니가 조각한 것이다. 17세기의 목조 문에는 발롬브로사 수도회의 성인들을 묘사하는 패널이 새겨져 있다. 본래 로마의 카라칼라 욕장에 있던 것으로, 현재는 광장 밖에 위치한 정의의 원주 (''Colonna di Giustizia'')는 교황 비오 4세코시모 1세 데 메디치에게 선물한 것이다.[3] 피렌체가 시에나에 승리를 거둔 몬테무를로 전투를 기념해 1565년에 세워졌다.

치마부에의 '산타 트리니타 마에스타'가 한때 이 성당의 제단에 걸려 있었으나 이후에 옆쪽의 예배당으로 옮겨졌고 현재는 우피치 미술관에서 전시되고 있다. 과거 스트로치 가문의 예배당이 현재 성구보관실이다.

2. 1. 초기 역사와 건축

산타 트리니타 성당은 11세기에 발롬브로사 수도회가 건립했고, 당시 성당은 피렌체 성벽 밖에 있었다.[1][2] 이후 피렌체의 여러 부유한 가문들의 후원을 받았다. 현대 이탈리아어로 '삼위일체'를 뜻하는 'trinità'는 마지막 모음에 강조가 들어가지만, 옛 피렌체 지역의 발음은 첫 번째 모음에 강조를 하였는데, 이에 따라 성당의 명칭은 악센트가 빠진 대로 기재되는데 이따금식은 흔치 않은 발음을 나타나내기 위해 첫 번째 모음에 강조를 'trìnita'로 표기된다.

성당은 본래 소박한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의 산타 마리아 델로 스파시모(Santa Maria dello Spasimo)라는 성당으로 지어졌었다. 이 성당은 카롤링거 시대의 예배당 터에 지어진 것이었다. 이때의 일부 흔적들을 파사드 내부 쪽에서 볼 수 있다. 최근의 성당 건물은 1258년-1280년에 11세기에 있었던 성당의 터에 건설됐다.[1] 13세기에 소 바실리카 지위에 올랐다.[1] 산타 트리니타는 교구 성당이자 발롬브로사 수도회의 수도원이기도 하다.[2]

수 세기에 걸쳐 여러 번의 개보수가 있었다. 매너리즘 양식의 파사드 (1593년–1594년)는 베르나르도 부온탈렌티가 설계한 것이었다. 성당 중앙 문 위에 새겨진 박육조는 피에트로 베르니니와 조반니 바티스타 카키니가 조각한 것이다. 17세기의 목조 문에는 발롬브로사 수도회의 성인들을 묘사하는 패널이 새겨져 있다. 본래 로마의 카라칼라 욕장에 있던 것으로, 현재는 광장 밖에 위치한 정의의 원주 (''Colonna di Giustizia'')는 교황 비오 4세코시모 1세 데 메디치에게 선물한 것이다.[3] 피렌체가 시에나에 승리를 거둔 몬테무를로 전투를 기념해 1565년에 세워졌다.

치마부에의 '산타 트리니타 마에스타'가 한때 이 성당의 제단에 걸려 있었으나 이후에 옆쪽의 예배당으로 옮겨졌고 현재는 우피치 미술관에서 전시되고 있다. 과거 스트로치 가문의 예배당이 현재 성구보관실이다.

2. 2. 개보수와 증축

산타 트리니타 성당은 11세기에 발롬브로사 수도회가 건립했고, 이후 피렌체의 여러 부유한 가문들의 후원을 받았다.[1] 성당은 본래 소박한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의 산타 마리아 델로 스파시모 성당으로 지어졌으며, 카롤링거 시대 예배당 터에 건립되었다. 파사드 내부 쪽에서 당시의 흔적을 볼 수 있다. 현재의 성당 건물은 1258년-1280년에 11세기에 있었던 성당의 터에 건설됐다.[1] 13세기에 소 바실리카 지위에 올랐다.[1]

수 세기에 걸쳐 여러 번의 개보수가 있었다. 매너리즘 양식의 파사드 (1593년–1594년)는 베르나르도 부온탈렌티가 설계했다. 성당 중앙 문 위에 새겨진 박육조는 피에트로 베르니니와 조반니 바티스타 카키니가 조각했다. 17세기의 목조 문에는 발롬브로사 수도회의 성인들을 묘사하는 패널이 새겨져 있다. 광장 밖 정의의 원주는 카라칼라 욕장에 있던 것으로, 교황 비오 4세코시모 1세 데 메디치에게 선물했다.[3] 1565년에 몬테무를로 전투를 기념하여 세워졌다. 치마부에의 '산타 트리니타 마에스타'는 한때 성당 제단에 있었으나 우피치 미술관에서 전시되고 있다. 과거 스트로치 가문의 예배당은 현재 성구보관실이다.

3. 주요 예배당과 예술 작품

산타 트리니타 성당에는 여러 걸작들을 갖춘, 대략 20여 개의 예배당이 존재한다.[10] 그 중 가장 주목받는 곳은 사세티 예배당과 바르톨리니 살림베니 예배당이다.

'''사세티 예배당'''

도메니코 기를란다요가 그린 '성 프란체스코의 생애', '그리스도 탄생의 예언'(1482년–1485년) 등의 벽화와, 제단화인 '동방박사의 경배'(1485년)를 소장하고 있는 사세티 예배당은 피렌체의 랜드마크이다.[10] 입구 뒤로는 '그리스도의 강림을 아우구스투스 황제에게 알리는 시불라'가 있다. 메디치 은행의 은행장이었던 프란체스코 사세티는 기를란다요의 프레스코화 몇 점은 동시대 피렌체의 모습을 담고 있다.[10] 한 패널은 성당이 위치한 거리에서 일어난 '스피니 궁전에서 떨어진 소년을 구하는 성 프란체스코의 기적'을 묘사한다.[11] '교황 호노리오의 명을 받는 프란체스코'는 현재 시뇨리아 궁전에 소장되어 있다.

'''바르톨리니 살림베니 예배당'''

로렌초 모나코와 그의 조수들이 1420년대에 그린 '성모의 생애' 프레스코화가 있다.[10] 로렌초 모나코는 수태고지 제단화 역시 제작했다.

'''기타 예배당'''

방향예배당 번호예배당 명칭 및 미술품
1 (파사드 근처 궁륭)잔필리아치 예배당: 1630년경에 게라르도 실바니에 의해 개보수되었으며 14세기의 십자가상(Crocifisso della Providenza)과 프레스코화 한 점(이집트의 성녀 마리아 & 성 조시모, 1400년경)을 소장하고 있다.
2다비치 예배당: 1642년경 마테오 니게티가 개보수함.
3찰리-세르니지 예배당: 네르 디 비키의 성인과 성모와 스피넬로 아레티노의 제자의 미완성으로 남은 벽화 성녀 카타리나의 비밀스러운 혼인이 있다.
5아르딘겔리 예배당: 15세기의 슬픔의 남자와 베네데토 다 로베차노의 성막 (1505–15년)을 소장하고 있다.
7 (먼 벽)도니 예배당: 루도비코 치골리가 1608년과 1640년 사이에 걸쳐 장식함.
8삼위일체를 묘사한 마리오토 디 나르도의 제단화(1406년)를 소장한 중앙 예배당.
1 (궁륭)스트로치 예배당: 조반니 바티스타 카키니가 개보수했으며 손상을 입은 베르나르도 포케티의 벽화를 소장하고 있다. 제단화는 현재 우피치 미술관에 있다. 로렌초 모나코가 최초로 맡았다가 프라 안젤리코가 이어 완성한 십자가 강하는 현재 국립 산 마르코 박물관에 있다.
2봄베니 예배당: 니게티가 개보수했으며, 안토니오 델 체라이올로의 성녀 시에나의 카타리나의 비밀스러운 혼인과 리돌포 기를란다요의 수태고지를 소장하고 있다.
3다반차티 예배당: 네리 디 비키의 수태고지(1450–60년경)와 마소 디 반코의 제자의 벽화 성녀 카타리나의 논쟁을 소장.
4콤파니 예배당: 네리 디 비키의 성모승천 (1400년경)과 산 조반니 구알베르토와 발롬브로사의 성인들 (1455년) 등을 소장.
5 (익랑)스피니 예배당: 데시데리오 다 세티냐노가 시작하여 베네데토 다 마이아노가 완성한 막달레나를 소장.
6 (익랑)마돈나 델로 스파시모 예배당: 코시모 로셀리 학파가 그린 '갈보리로 향하는 도로 위의 그리스도'
7 (익랑)산 조반니 구알베르토 예배당: 카키니가 설계.
8 (익랑)프란체스코 그라나키가 그린 성녀 카타리나 & 마리 막달레나의 흠모를 받는 삼위일체 (1485년경)를 소장한 예배당.
9 (먼 벽)스칼리 예배당은 조반니 달 폰테와 스메랄도 디 조반니가 그린 프레스코화가 있다. 루카 델라 로비아가 만든 베노초 페데리기 주교의 무덤이 1895년 산 프란체스코 디 파올라에서 이곳으로 옮겨졌다.[12]
10 (먼 벽)우심바르디 예배당: 1602년에 치골리가 개보수함.


3. 1. 사세티 예배당

도메니코 기를란다요가 그린 '성 프란체스코의 생애', '그리스도 탄생의 예언'(1482년–1485년) 등의 벽화와, 제단화인 '동방박사의 경배'(1485년)를 소장하고 있는 사세티 예배당은 피렌체의 랜드마크이다.[10] 입구 뒤로는 '그리스도의 강림을 아우구스투스 황제에게 알리는 시불라'가 있다. 메디치 은행의 은행장이었던 프란체스코 사세티는 기를란다요의 프레스코화 몇 점은 동시대 피렌체의 모습을 담고 있다.[10] 한 패널은 성당이 위치한 거리에서 일어난 '스피니 궁전에서 떨어진 소년을 구하는 성 프란체스코의 기적'을 묘사한다.[11] '교황 호노리오의 명을 받는 프란체스코'는 현재 시뇨리아 궁전에 소장되어 있다.

3. 2. 바르톨리니 살림베니 예배당

로렌초 모나코와 그의 조수들이 1420년대에 그린 '성모의 생애' 프레스코화가 있다.[10][4] 로렌초 모나코는 수태고지 제단화 역시 제작했다.

3. 3. 기타 예배당

산타 트리니타 성당에는 여러 걸작들을 갖춘, 대략 20여 개의 예배당이 존재한다.[10] 그 중 가장 주목받는 곳은 사세티 예배당과 바르톨리니 살림베니 예배당이다. 메디치 은행의 은행장이었던 프란체스코 사세티[10]와 관련된 도메니코 기를란다요의 프레스코화 몇 점은 동시대 피렌체의 모습을 담고 있다.[10]

방향예배당 번호예배당 명칭 및 미술품
1 (파사드 근처 궁륭)잔필리아치 예배당: 1630년경에 게라르도 실바니에 의해 개보수되었으며 14세기의 십자가상(Crocifisso della Providenza)과 프레스코화 한 점(이집트의 성녀 마리아 & 성 조시모, 1400년경)을 소장하고 있다.
2다비치 예배당: 1642년경 마테오 니게티가 개보수함.
3찰리-세르니지 예배당: 네르 디 비키의 성인과 성모와 스피넬로 아레티노의 제자의 미완성으로 남은 벽화 성녀 카타리나의 비밀스러운 혼인이 있다.
4바르톨리니 살림베니 예배당: 로렌초 모나코와 그의 조수들의 프레스코화 성모의 생애 (1420년대) 소장.[10] 제단화 수태고지 역시도 로렌초 모나코의 작이다.
5아르딘겔리 예배당: 15세기의 슬픔의 남자와 베네데토 다 로베차노의 성막 (1505–15년)을 소장하고 있다.
6 (익랑의 출구 뒤의 먼 벽)사세티 예배당: 피렌체의 랜드마크인, 이곳 예배당은 성 프란체스코의 생애, 그리스도 탄생의 예언 (1482년–1485년) 등의 벽화와, 제단화인 동방박사의 경배 (1485년)를 소장하고 있으며, 모두 도메니코 기를란다요가 그린 것들이다.[10] 입구 뒤로는 그리스도의 강림을 아우구스투스 황제에게 알리는 시불라가 있다. 한 패널은 성당이 위치한 거리에서 일어난 스피니 궁전에서 떨어진 소년을 구하는 성 프란체스코의 기적을 묘사한다.[11] 교황 호노리오의 명을 받는 프란체스코는 현재 시뇨리아 궁전에 소장되어 있다.
7 (far wall)도니 예배당: 루도비코 치골리가 1608년과 1640년 사이에 걸쳐 장식함.
8삼위일체를 묘사한 마리오토 디 나르도의 제단화(1406년)를 소장한 중앙 예배당.
1 (궁륭)스트로치 예배당: 조반니 바티스타 카키니가 개보수했으며 손상을 입은 베르나르도 포케티의 벽화를 소장하고 있다. 제단화는 현재 우피치 미술관에 있다. 로렌초 모나코가 최초로 맡았다가 프라 안젤리코가 이어 완성한 십자가 강하는 현재 국립 산 마르코 박물관에 있다.
2봄베니 예배당: 니게티가 개보수했으며, 안토니오 델 체라이올로의 성녀 시에나의 카타리나의 비밀스러운 혼인과 리돌포 기를란다요의 수태고지를 소장하고 있다.
3다반차티 예배당: 네리 디 비키의 수태고지(1450–60년경)와 마소 디 반코의 제자의 벽화 성녀 카타리나의 논쟁을 소장.
4콤파니 예배당: 네리 디 비키의 성모승천 (1400년경)과 산 조반니 구알베르토와 발롬브로사의 성인들 (1455년) 등을 소장.
5 (익랑)스피니 예배당: 데시데리오 다 세티냐노가 시작하여 베네데토 다 마이아노가 완성한 막달레나를 소장.
6 (익랑)마돈나 델로 스파시모 예배당: 코시모 로셀리 학파가 그린 '갈보리로 향하는 도로 위의 그리스도'
7 (익랑)산 조반니 구알베르토 예배당: 카키니가 설계.
8 (익랑)프란체스코 그라나키가 그린 성녀 카타리나 & 마리 막달레나의 흠모를 받는 삼위일체 (1485년경)를 소장한 예배당.
9 (먼 벽)스칼리 예배당은 조반니 달 폰테와 스메랄도 디 조반니가 그린 프레스코화가 있다. 루카 델라 로비아가 만든 베노초 페데리기 주교의 무덤이 1895년 산 프란체스코 디 파올라에서 이곳으로 옮겨졌다.[12]
10 (먼 벽)우심바르디 예배당: 1602년에 치골리가 개보수함.


4. 기타

4. 1. 치마부에의 '산타 트리니타 마에스타'

4. 2. 성구보관실

참조

[1] 웹사이트 The basilica of Santa Trinita https://www.visittus[...] Regione Toscana
[2] 웹사이트 Basilica di Santa Trinita https://religiana.co[...]
[3] 서적 Guida artistica della città di Firenze https://books.google[...]
[4] 웹사이트 Santa Trinita http://www.museumsin[...]
[5] 웹사이트 Resurrection of the Boy http://www.wga.hu/ht[...] Web Gallery of Art 2012-08-10
[6] 웹사이트 Monument to Bishop Benozzo Federighi http://www.wga.hu/cg[...] Web Gallery of Art 2012-08-10
[7] 웹사이트 The basilica of Santa Trinita https://www.visittus[...] Regione Toscana
[8] 웹사이트 Basilica di Santa Trinita https://religiana.co[...]
[9] 서적 Guida artistica della città di Firenze https://books.google[...]
[10] 웹사이트 Santa Trinita http://www.museumsin[...]
[11] 웹인용 Resurrection of the Boy http://www.wga.hu/ht[...] Web Gallery of Art 2012-08-10
[12] 웹인용 Monument to Bishop Benozzo Federighi http://www.wga.hu/cg[...] Web Gallery of Art 2012-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